top of page
작성자 사진팔로우뉴스

국내·외 ‘청정수소 공급체계’로…2050년 100% 청정수소 공급


산업부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청정수소 자급률 60% 이상 확대

청정수소 인프라 마련·인센티브 부여…“모든 일상에 수소 활용 할 수 있도록”


2021.11.26 산업통상자원



정부가 2050년에 연간 2790만톤의 수소를 100% 청정수소(그린·블루수소)로 공급하는 등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한다.


또한 국내 생산은 물론 우리 기술·자본으로 생산한 해외 청정수소 도입으로 청정수소 자급률도 60% 이상 확대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수소선도국가 비전에서 제시한 ▲국내·외 청정수소 생산 주도 ▲빈틈없는 인프라 구축 ▲모든 일상에서 수소 활용 ▲생태계 기반 강화 등 4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 15개 과제를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김부겸 국무총리주재로 열린 제4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이와 같은 내용이 담긴 ‘제1차 수소경제 이행 기본계획’ 발표했다.


먼저 국내·외 수소 생산을 청정수소 공급체계로 전환함에 따라 재생에너지와 연계한 수전해 실증을 통해 그린수소의 대규모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생산단가를 감축한다.


또한 동해가스전 실증 등 탄소포집저장기술(CCS) 상용화 일정에 맞추어 탄소저장소를 2030년까지 9억톤 이상 확보해 이산화탄소 없는 청정 블루수소를 2030년 75만톤, 2050년까지 200만톤을 생산한다.


아울러 국내 자본·기술을 활용한 해외 재생에너지-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추진해 2050년 40개의 수소공급망을 확보한다.


특히 안정적인 수소 수급을 위해 비축기지 건설 및 국제거래소를 설립하고, 수소 생산국들과 협의해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청정수소 인증제 및 원산지 검증체계를 구축한다.


이와 함께 청정수소를 어디서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마련하는데, 석탄·LNG발전소와 산단 인근에 수소항만을 구축하고 항만시설 사용료·임대료 감면 등 인센티브 부여를 통해 항만 내 선박·차량·장비 등을 수소 기반으로 전환한다.


더불어 수소생산·도입 주요 거점을 중심으로 수소 배관망을 구축하고 기존 천연가스망을 활용한 수소혼입도 검토하며, 주유소·LPG 충전소에 수소충전기를 설치하는 융복합 충전소 확대 등을 통해 수소충전소를 2050년까지 2000기 이상 확보한다.


발전·모빌리티·산업 등 모든 일상에서는 수소를 활용하고자 수소연료전지에 더해 석탄에 암모니아 혼소발전 및 LNG 수소 혼소 등 수소발전을 상용화하고,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도입해 환경급전 강화 등으로 이를 뒷받침 한다.


또 수소차 생산능력의 대폭 확충과 함께 2030년까지 내연기관차 수준으로 성능을 높이고 선박·드론·트램 등 다양한 모빌리티로 수소 적용을 확대한다.


산업 부문에도 신규·노후 산업단지 중심으로 수소연료 사용을 유도하고, 철강·석유화학·시멘트 등 온실가스 고배출 산업을 대상으로 수소기반 공정전환과 연료·원료를 수소로 대체해 나간다.


이 밖에도 수소 관련 기술개발의 시너지 효과를 높이기 위해 각 부처별로 개발 기술 규모를 높이고 범부처 통합실증을 실시해 수소산업 육성 저변 강화를 위한 제도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그리고 선제적 안전기준 수립, 국제표준 선점 지원 등을 통해 수소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수소 연합회‘를 출범해 수소생태계 구축을 위한 국내·외 기업간 협력을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한편 산업부는 앞으로 수소가 2050년 최종에너지 소비의 33%, 발전량의 23.8%의 비중을 차지할 전망으로, 1319조원의 경제효과와 56만 7000명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온실가스는 약 2억톤 이상의 저감효과가 나타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수소는 2050년에는 최대 에너지원인 석유(49.3%)를 제치고 단일 에너지원으로써는 최대 에너지원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Comentário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