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팔로우뉴스

비닐하우스에서도 배달 받는다…‘스마트 주소정보’ 플랫폼 구축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 수립·시행…주소정보 인프라 2배 확충

로봇·드론 배송, 전동 휠체어 내비게이션, 실내 내비게이션 등 제공 가능



# 비닐하우스에서 일하다 자장면을 배달시키면서 마중 나가시지는 않으셨나요? 내가 있는 곳까지 로봇 배송은 경험해 보셨나요? 포털사이트에서 주소를 이용해서 다양한 데이터를 비교해 검색해 보셨나요?


앞으로 비닐하우스에서 일하면서도 정확한 위치로 배달을 받을 수 있게 되고 로봇·드론 배송, 전동 휠체어 내비게이션, 실내 내비게이션 등 새로운 서비스와 지식그래프를 통한 장소 분석도 가능해진다.


행정안전부는 도로명주소법에 근거해 향후 5년 동안 ‘주소로 안전한 나라, 주소로 편리한 나라, 주소가 자원인 나라’라는 주소정책의 추진방향을 담은 ‘제1차 주소정보 활용 기본계획’을 수립·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 전 국토의 이동경로와 접점이 보다 촘촘하게 연결되도록 주소정보 기반시설을 2배 이상 확충하고, 주소정보기반의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를 구축해 1조 원대의 주소정보산업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그동안 주소는 개인·회사의 거주·소재지를 의미해 왔으나 인공위성과 인공지능 등의 발달로 현실과 가상세계의 연결 매개체이자 사람과 로봇의 위치 식별자인 주소정보로 발전해 왔다.


특히 주소정보는 다양한 디지털 정보를 융·복합하는 최상의 데이터로 주요 선진국에서도 국가 주도로 생산·관리·유통하고 있다. 이에 행안부는 향후 5년간 지자체와 함께 추진할 주소정책의 기본방향을 마련했다.


먼저 사람과 로봇 모두에게 고루 인식되는 촘촘한 주소정보 인프라를 2배 이상 확충한다. 주소정보는 생활과 행정에서 사용되는 장소의 단위 인프라로 촘촘할수록 다양한 서비스 창출의 양분이 되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현재 지상도로 등 16만개를 2026년에는 지상도로, 고가·지하도로, 내부도로, 실내 이동경로 등 64만개로 4배 확충한다.


배달 접점도 건물 출입구 등 700만개에서 건물과 공터 등 1400만개로 2배 확충하고, 주소정보 공개·제공도 도로명주소 등 41종에서 이동경로와 접점 등 121종으로 3배 확충한다.


또한 사람과 지역에 상관없이 고른 주소정보를 부여하고 주소활용 취약계층과 지역의 격차를 해소할 계획이다. 사람의 왕래가 적은 지역에도 주소체계를 마련해 지역 주민의 생활과 관계인구의 방문 편의를 높인다.


농로, 임로, 방파제 등 농·어촌에 도로명을 2배 확충하고 도로명주소 미부여 사업장 등 100만 건에 개별주소를 부여한다. 야외 활동에 필요한 지역에도 개별주소를 부여한다.


미래 새로운 산업군으로 1조 원대 주소정보산업 창출을 지원한다. 주소기반 혁신서비스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인프라를 공공부문에서 구축해 제공함으로써 기업의 공통비용 절감을 지원한다.


특히 드론 배달점 등 11종을 2026년에는 275종으로 늘리고, K-주소를 브랜드화해 국내 주소체계의 국제 표준화 및 개발도상국 주소정보산업 진출을 지원한다.


최상위 데이터로서 주소정보를 유통하고 융·복합해 응용할 수 있는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다. 영상이나 사진을 이용한 변화 탐지 기술, 인공지능을 이용한 주소 자동 부여, 지식그래프를 이용한 장소 지능화 기술 등 첨단기술도 도입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주소가 물리적 위치를 알리는 것을 넘어 사람과 인공지능 간 위치 소통 수단이자 현실과 가상세계를 연결하는 매개체로 기능이 확대하고 있다”며 “디지털시대에 맞는 주소정보 데이터-네트워크-인공지능(D.N.A.) 생태계 조성을 통해 주소정보산업을 활성화하고 관련 분야에서 좋은 일자리가 창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2022.06.07 행정안전부)



Comments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