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외교통상·산업육성 방안 토론회’ 개최 -
- “‘다자주의 기반 협력 강화·저탄소 경제 강화’ 중점적으로 대응” -
양승조 충남도지사는 25일 “바이든 정부의 다자주의 기반 협력 강화에 발맞춰 실리외교를 펴고, 녹색전환 기조에 대응해서는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혔다.
도는 이날 도청 대회의실에서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지역 외교통상 및 산업 육성 방안 마련 토론회’를 개최했다.
미국 바이든 정부의 외교·경제정책 변화에 대한 도 차원의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해 연 이번 토론회에는 양 지사와 안장헌 도의회 기획경제위원장, 윤황 충남연구원장 등 도 관련 공공기관장, 외부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토론회는 △미 외교통상 정책 변화에 따른 지역 외교통상 전략 △에너지·기후 등 산업환경 변화에 맞춘 충남 전략산업 육성 협력 방안을 주제로, 홍석우 전 지식경제부 장관 기조연설, 정철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과 문종철 산업연구원 연구위원 주제발표, 토론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양 지사는 “바이든 정부 경제 정책의 핵심은 다자주의 기반 협력 강화와 저탄소 강화”라며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 보호주의가 쇠퇴하면서 우리나라의 대외 통상 여건은 전보다 호전될 것으로 전망되나, 위협요인도 많아 철저한 대응과 협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양 지사는 이어 “다자주의 국제환경 조성 흐름에 발맞춰 국제기구 협력 및 지역 실리외교를 펴겠다”라며 △RCEP 출범에 맞춰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 지방정부와 협력 강화 △도내 중소기업 아세안 진출 확대 모색 △신남방, 신북방 국가와 협력 관계 구축 등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바이든 정부의 저탄소 경제 강화와 관련해서는 “충남의 탄소중립 목표 및 충남형 그린뉴딜 정책과 일치해 협력의 여지가 매우 크다”며 언더투연합·탈석탄동맹 가입, 기후비상상황 선포, 탈석탄 금고 선언, 도지사 언더투연합 공동의장 선출 등 기후변화 리더십을 바탕으로 기업의 친환경 전환과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으로 양 지사는 올해 △충남 2050 탄소중립 전략 수립 △정의로운 전환 기금 조성 △도내 기업 R&D 역량 강화 △당진 RE100(기업 사용 전력 100% 신재생에너지 대체) 산업단지 및 전력자유거래 규제자유특구 조성 등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양 지사는 “지난해 11월 기준 수출 715억 달러로 전국 2위, 무역수지 475억 달러로 전국 1위를 차지한 충남은 경제구조상 세계 경제의 변화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충남도가 미국 바이든 행정부 출범에 맞춰 토론회를 개최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양 지사는 “바이든 행정부의 외교통상 정책과 에너지 정책 상당 부분이 충남의 전략산업 및 기후환경 정책과 연관이 있으나, 잠재적 위험 요인에 대해서는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며 “이번 토론회에서 제시된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 외교통상 전략과 전략산업 육성 방안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도록 하겠다”고 덧붙였다.
홍석우 전 장관은 ‘팬데믹 시대와 바이든’을 주제로 한 기조연설을 통해 “바이든 행정부 출범 후 안보와 대북, 산업통상, 환경 정책 등 많은 분야에서 대응과 협력이 필요하다”며 충남의 경제위기 대응 및 발전 전략 방안으로 △글로벌 가치사슬 조정 △환경인프라 투자 확대 △지역무역협정 입장 정립 △미·중 마찰 대비 등을 제시했다.
정철 선임연구위원은 ‘바이든 정부 출범에 따른 외교통상 환경 변화와 지역 외교통상 전략’을 주제로 한 발제를 통해 “외교통상 정책에서는 코로나19 보건위험 대응, 디지털 가속화와 기술 혁신, 기후변화와 에너지 등이 핵심이 될 것이며, 가치사슬 지역화 및 그린뉴딜 등 신산업으로의 전환 가속화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충남에 대해서는 △미·중 경쟁과 협력 구분 대응 △새롭게 부상하는 산업 선제적 투자 및 신산업 대응 △통상 압박 강화 및 수출 품목 가격 상승 대비 등을 조언했다.
‘바이든 정부의 출범이 우리 산업에 미칠 영향’을 주제로 발제에 나선 문종철 연구위원은 “바이든 정부의 확장적 재정정책, 부자증세, 완화적 통화정책 등 기본방향과 환경·그린뉴딜 정책에 맞게 핵심 주력산업 발전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문 연구위원은 “중국의 부상, 미·중 마찰, 코로나19 사태, 자국 산업 보호 육성 등으로 글로벌 가치사슬이 변화하는 상황에서 지역에서도 면밀한 대응이 필요하다”며 “주요 산업 부문에서 새로운 플랫폼 진출, 신산업 분야로의 진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김병헌 #팔로우뉴스(follows.kr) 기자 follownewss@gmail.com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