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정동참사 불과 석 달 전, 학동참사 1년도 안되
- 연이은 참사에도 광주시 눈가리고 아웅...‘반쪽짜리 안전도시?’
- 무슨 염치로 ‘국제안전도시’ 재인증을 받으려는가? 인증서 반납하라
- 광주 시민들이 실제 광주를 안전한 도시라고 느끼는 것 같은가?
- ‘안전한 도시’ 포장지를 사는데 시민 혈세 얼마나 들었는지 밝혀라
- 화정동참사 수사도 안 끝났는데 시장 재선에만 열올려
- ‘비공인 민간 기구’ 인증기관 신뢰성 의심…연속된 붕괴사고 고려했나
27일 광주시가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인증이 성공했다고 대대적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했다. 상반기 중에 인증서를 받아 ‘국제안전도시 재공인 선포식’을 열겠다고 한다.
참으로 염치가 없다.
작년 6월 학동참사가 일어난 지 채 1년도 안 됐다. 올해 1월 11일 화정동참사가 발생한 지 채 석 달도 지나지 않았다. 열다섯 명의 무고한 시민이 숨졌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광주에서 벌어진 두 사고를 벌써 잊었는가? 무슨 염치로 ‘국제안전도시’ 재인증을 신청한 것인가? 도대체 양심이라는 게 있는가? 당장 인증서를 반납하고 자숙하라.
‘국제안전도시’ 인증서를 받으면 광주 시민들이 실제로 광주가 안전하다고 느낄 것 같은가? 평범하게 버스를 타고 가던 시민들이 갑작스레 사고를 당했던 기억이, 공사 중이던 아파트 밑바닥이 무너져 내린 기억이 그리 쉽게 잊힐 것 같은가?
다음 시장을 하고 싶어서인가? 두 참사에 책임을 지고 사퇴하지는 못할망정, 재선에만 눈이 멀어 그리 뻔뻔하게 ‘광주는 국제안전도시’라고 주장하고 싶은 것인가? 주범인 현대산업개발에 대해 아무런 처벌도 내려진 게 없는데, 화정동 붕괴사고 수사가 아직 끝나지도 않았는데 무슨 염치로 ‘국제안전도시’를 자임하는가.
또한, 지난 1년 동안 두 번의 참사가 있었던 도시에 ‘국제안전도시’ 인증을 준 비공인 민간단체의 인증에 공신력을 의심할 수밖에 없다. 보도에 따르면 국제안전도시 인증은 지금까지 43개국, 433개 도시에 이른다고 하나, 국제안전도시 공인센터(ISCCC) 홈페이지를 찾아보면 현재 인증이 유효한 도시는 13개국 118개 도시로 이중 중국, 일본, 대만,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가 100여 개를 차지하고 있다. 홈페이지에는 그동안 안전도시 인증을 위한 연구결과 등은 찾을 수 없고, 단순한 인증 절차만이 확인된다.
인증을 위한 검증 분야 또한 가정폭력, 정신적 스트레스, 도로교통사고, 주택화재 등으로 국한되며 인증위원도 공중보건, 의료분야 인사가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광주시가 공중보건 등에 국한된 ‘인증서’를 이용해 ‘국제안전도시’라는 타이틀만 홍보하려는 것은 아닌지 의심되는 대목이다.
연이은 참사에도 불구하고 받은 ‘국제안전도시’ 인증은 눈가리고 아웅, ‘반쪽짜리 안전도시’에 불과할 뿐이다. 광주시는 이용섭 시장의 재선 홍보용으로 ‘국제안전도시’ 타이틀을 내세울 생각 말고, ‘안전도시’ 개념부터 다시 정립하길 바란다.
#김병헌 #팔로우뉴스(follows.kr) 기자 follownewss@gmail.com
Comments